55세에 시작하는 노후준비/무엇을?

노인 정부 지원금 총정리 | 2025년 최신 정보

사막의 여우 2025. 3. 3. 01:23
728x90
반응형

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노인 지원금 정보를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.

1. 기초연금 지원
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에게 매월 지급되는 지원금입니다.

기초연금 수급 대상

  •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자
  • 가구의 소득 인정액이 선정 기준액 이하인 경우
  • 선정 기준액(2025년 기준): 단독가구 210만 원, 부부가구 335만 원

기초연금 지급 금액

  • 단독가구: 최대 월 33만 원
  • 부부가구: 최대 월 52만 5천 원
  • 소득과 재산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

신청 방법

    •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신청
    • 온라인 신청(복지로 웹사이트 이용  )   http://www.bokjiro.go.kr/
 

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

 

www.bokjiro.go.kr

 

2. 노인 의료비 지원

노년층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의료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노인 의료비 경감 제도

  • 건강보험 본인부담 경감: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은 병원 진료비 본인 부담률이 낮아짐
  • 노인틀니 및 임플란트 지원: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는 틀니 및 임플란트 시술 비용 일부 지원
    • 틀니: 본인 부담률 25%
    • 임플란트: 1인당 2개까지 지원, 본인 부담률 25%
  • 한방진료 지원: 일부 지자체에서는 한방 치료 및 첩약 비용을 지원

신청 방법

  • 건강보험공단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
3. 주거 지원 정책

고령층의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위해 정부는 공공임대주택 및 주거급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

공공임대주택 지원

  • 영구임대주택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노인을 위한 저렴한 임대주택 제공
  • 국민임대주택: 일정 소득 이하 노인을 대상으로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
  • 신청 방법: LH(한국토지주택공사) 및 지방자치단체 공고 확인 후 신청

주거급여 지원

  •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 대상
  • 임차가구: 월세 보조금 지급
  • 자가가구: 주택 개보수 비용 지원
  • 신청: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(복지로)

4.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

고령층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돕기 위한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이 운영됩니다.

노인 일자리 지원 사업

  • 공익형 일자리: 환경 정비, 공공시설 관리 등
  • 사회서비스형 일자리: 노인 돌봄, 보육 보조 등
  • 시장형 일자리: 협동조합, 소규모 창업 지원
  • 신청 방법: 노인일자리여기 ( https://www.seniorro.or.kr:4431/또는 주민센터 신청

 

 

◆각 지자체별 장노년 일자리지원센터◆

 

▶부산 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https://www.busan50plus.or.kr/

 

50플러스 부산포털-부산노인일자리,부산장노년일자리센터, 부산시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

부산일자리, 부산일자리센터, 부산일자리정보망, 부산고용센터, 부산구인구직, 노인일자리, 노인일자리센터, 부산노인일자리, 부산장노년일자리센터, 부산고령년일자리센터, 부산중장년일자

www.busan50plus.or.kr:443

 

▶광주광역시노인일자리포털  https://gjsenior.kr/

 

광주광역시노인일자리포털

광주광역시노인일자리포털

gjsenior.kr

 

▶서울시 50플러스 포털   https://50plus.or.kr/

 

서울시 50플러스포털

 

www.50plus.or.kr

 

▶경기도 노인일자리지원센터  https://ggseniorjob.or.kr/

 

경기도 노인 일자리 지원센터

노인일자리, 취업, 자원봉사, 경기도노인일자리경진대회, 시니어클럽 등 사업 안내.

ggseniorjob.or.kr

 

 

5. 노인 교통비 및 문화 생활 지원

노년층의 이동 편의와 문화 활동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시행됩니다.

교통비 지원

  • 지하철 무료 이용: 만 65세 이상 노인은 전국 지하철 무료 이용 가능
  • 고속·시외버스 요금 할인: 일부 노선에서 30~50% 할인 제공
  • 농어촌버스 무료 이용: 일부 지자체에서 지원   

문화·여가 지원

  • 문화누리카드: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노인 대상, 연간 12만 원 지원(공연, 전시, 스포츠 관람 등)
  • 국·공립 문화시설 할인: 박물관, 미술관, 공연장 등 할인 혜택 제공

6. 긴급복지 지원제도

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처한 노인을 위해 정부는 긴급복지 지원제도를 운영합니다.

긴급 생계 지원

  • 중대한 질병, 자연재해, 경제적 위기 발생 시 생계비 지원
  • 1인 가구 기준 월 69만 원 지급(2025년 기준)

의료비 지원

  • 위기 상황에서 병원비 부담이 큰 경우 최대 320만 원 지원
  • 신청: 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부 긴급복지 콜센터(129)

 

노인 정부 지원금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, 대상자에 따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본인의 상황에 맞는 지원금을 놓치지 않도록 반드시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 더 많은 정보는 보건복지부(www.mohw.go.kr) 및 복지로(www.bokjiro.go.kr)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